[스크랩] 전도의 기본 전술 전도의 기본 전술 - 들어가는 말 - 개인 전도할 때, 전술 또는 간단한 기본 원리들을 알고 있으면, 전도를 효 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마도 그들 스스로 경험을 통하 여 이것들을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본 단원에서 이러한 전술 또는 원리들 을 익혀두면 가슴 아픈 실수들을 하는 일..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전도자의 기도 전도자의 기도 "또한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되 하나님이 전도할 문을 우리에게 열어 주사 그리스도의 비밀을 말하게 하시기를 구하라 내가 이것을 인하여 매임을 당하였노라" (골 4:3) 행동훈련: 특공대: 100가구 초대장 전달 방문, 2차 선물. 간증(계속) 평신도: 6단계,초대장 전달 방문. 교회상품 선물(시..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복음이 가진 영적 능력 복음이 가진 영적 능력 하나님께서는 전도의 낙제자였던 저를 부르셔서 하나님의 귀한 복음의 전도자로 사용하셨습니다. 잃어버린 영혼에 대한 열정과 복음이 가진 영적 능력, 전도자의 말할 수 없는 기쁨이 넘쳐났습니다. 죽었던 영혼의 소생함을 보는 하나님의 기쁨에 동참케 하신 은혜에 전율합니..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베드로 전도의 교훈 베드로 전도의 교훈 많은 제자들 중에 특별히 베드로의 일생을 살펴보면 가장 인간적인 냄새가 나는 것 같아 친근함을 느낄 수 있어 좋다. 한낱 어부였던 그가 예수님의 수제자가 되었건만, 예수님께서 빌라도 법정에 잡혀갔을 때에 하늘에 맹세코 주님을 전혀 모른다고 말했던 나약한 모습이나, 오..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9가지 전도법 9가지 전도법 1.어려운 자들에게 먼저 가라 - 예수 전도법 예수님은 항상 가난하고 어렵고 병든 자를 찾아다니며 전도하셨다. 예수께서 보이신 기적과 이사는 대부분 병든 자를 고치시고 가난한자를 먹이시는 일이었다. 또한 신분 높고 낮음에 상관하지 않고 그들을 회계시키고 구원하셨다. 2.상대의 ..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전도자의 켜뮤니케이션 전도자의 켜뮤니케이션 1) 전도 대상자의 확보 가) 가장 가까운 친구 이웃, 가정, 친척 나) 믿다가 실망한 자 다) 종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자 2) 접촉하는 기술 ◆ 접촉하는 기술 10가지 이상 ◆ 가)평안을 빌라 나)커다란 성경을 가지지 말라 다)신앙을 빨리 파악하라 라)일상적인 대화에서 빨리..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전도자의 열가지 수칙 전도자의 열가지 수칙 1. 예수님 십자가 보혈을 능가하는 복음은 없다. 2. 세상적이고 정욕적인 모든 소욕을 차단하는 가지치기를 하라. 3. 내 죄를 위하여 피를 흘려주신 예수님을 위하여 목숨 걸고 일하라. 4. 세상과 사람을 의식하지 말고 피와 땀과 눈물로 복음의 씨를 뿌리자. 5. 열 가지 알고 실천 안..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전도자에 대한 성도의 별명 전도자에 대한 성도의 별명 사신과 같은 성도(고후5:20-21) 1. 사신이란 무엇인가? (1) 임금의 특별한 신하다 (2) 중대한 어명을 전하는 자다 (3) 왕권을 가진 존재다 (4) 영광스런 신분이다 2. 우리는 어떤 사신인가? (1) 그리스도를 대신하는 사신(고후5:20) (2) 쇠사슬에 매인 사신(엡6:20) 3. 사신의 임무 (1) 왕..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생활전도란? 생활전도란 1. 정의 생활전도란 첫째, 인격적으로 전도하는 것이다. 전도인이 전도 대상자에게 생활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인격'으로 친분을 맺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베풀면서 함께 그리스도 앞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복음을 전하는 전도인의 생활과 인격은 전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둘째, .. 선교 교실 2008.09.28
[스크랩]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복음제시 전도지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복음제시 전도지” 당신은 하나님을 아는 축복을 누리고 계십니까?(I) (요 17:3) 당신은 하나님을 아는 축복을 누리고 계십니까? 라는 한국식 전도지는 영어와 몽골어로 이미 번역이 되었습니다. 축복이라는 단어를 한국인들에게 복음은 전할 때 접촉점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면서.. 선교 교실 2008.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