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 영어

영작을 위한 쉬운 기초영문법 1

열국의 어미 2010. 5. 5. 17:47

‘8품사’는 ‘①명사, ②대명사, ③동사, ④형용사, ⑤부사, ⑥전치사, ⑦접속사, ⑧감탄사’ 등이 있습니다.

 

1) 명사(名詞 Noun)

 

 명사(名詞)란 名(이름 명)자와 詞(말씀 사)자가 합쳐 이루어진 말로 ‘이름 붙여진 말’이라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이름이 있는 이 세상의 모든 사물이 모두 ‘명사’인 것입니다. 너무나 많죠? desk(책상), tree(나무), computer(컴퓨터), school(학교), chalk(분필), teacher(선생님), student(학생).... 모두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이러한 단어가 바로 명사입니다.

예컨대, ‘새, 노래, 철수, 기영, 순자, 돼지, 서울, 핑클, 의사, 사랑, 능력, 학교…’ 등은 모두 사람 이름을 나타내거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므로 ‘명사’입니다.

 

① 일정한 모양이 있고 눈으로 볼 수 있는 명사 : 새, 철수, 기영, 순자…

② 일정한 모양이 없고 눈으로 볼 수 없는 명사 : 사랑, 능력, 미움, 아름다움… (머릿속에서 생각으로만 알 수 있음)

 

 

2) 대명사(代名詞)

 

대명사(代名詞)는 代(대신할 대)자, 名(이름 명)자 그리고 詞(말씀 사)자가 합쳐진 말로 명사를 ‘대신하는 말’이란 뜻입니다.

 

① Jin-sil is a TV star. She is beautiful. 진실은 탤런트다. 그녀는 아름답다.

② The car is mine. It is Sephia. 그 차는 내꺼다. 그것은 세피아이다.

 

① 에서 She는 Jin-sil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She는 Jin-sil을 대신하는 명사인셈이죠.

② 역시 It은 The car를 대신하는 명사인 것입니다.

영어는 말이 겹치는 것을 아주 싫어합니다. 따라서 이렇게 대명사를 자주 사용한답니다.

 

① Tom loved Mary. < loved ~을 사랑했다 >  <탐은 메리를 사랑했다.>

② They(= Tom 과 Mary) parted friends. <그들은 친구로서 헤어졌다. 그들은 의좋게 헤어졌다.>

보기 ①, ②에서 Tom, Mary, they, friends 는 사람의 이름을 가리키는 낱말입니다. 때문에 명사입니다. 그 중에서 ②의 They 는 ①의 Tom 과 Mary 를 대신해서 쓴 낱말입니다. 바로 이런 명사를 가리켜 ‘대명사’라 합니다. 물론 ②를 Tom and Mary parted friends. 라고 써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동일한 말을 반복해서 사용하면 듣기에 거북스러울 때가 간혹 있죠? 그래서 Tom and Mary를 They 로 바꾼 것입니다.

 

 

3) 형용사(形容詞)

 

형용사(形容詞)란 形(그릴 형) 容(얼굴 용) 詞(말씀 사)가 합쳐진 말로 ‘얼굴을 그리는 말’이란 뜻입니다. 얼굴이 있는데 얼굴을 그대로 두는 것이 아니라 얼굴에다 무언가를 그린다는 말이죠. 여기서 얼굴은 명사에 해당합니다. 그 명사에 무언가를 색칠하고 입히고 하는 역할을 맡은 단어를 형용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형용사를 붙이느냐에 따라 명사의 성격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다음 단어를 살펴보죠.

clean(깨끗한) dirty(더러운) good(좋은)

bad(나쁜) kind(친절한) rude(무례한)

a. clean paper (깨끗한 종이) / dirty paper (더러운 종이)

b. good people (좋은 사람들) / bad people (나쁜 사람들)

c. kind child (친절한 아이) / rude child (무례한 아이)

 

a는 ‘종이’라는 명사가 clean과 dirty에 의해 성격이 완전 반대가 되었습니다. b는 ‘사람들’이라는 명사가 good과 bad에 의해 성격이 완전 반대가 되었습니다. c역시 ‘아이’라는 명사가 kind와 rude에 의해 성격이 완전 반대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형용사는 명사의 성격을 좌우합니다. 얼굴을 바뀌게 하는 것이죠. 또한 이 형용사는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clean은 깨끗한 상태를, good은 착한 성질을 나타냅니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명사 앞에 위치하고 단어가 -ㄴ으로 끝납니다. 그리고 형용사는 ‘어떤 무엇?’에서 ‘어떤’에 대한 답이기도 합니다.

다음을 보세요.

종이. 어떤 종이? 깨끗한 종이 / 더러운 종이

사람들. 어떤 사람들? 좋은 사람들 / 나쁜 사람들

아이. 어떤 아이? 친절한 아이 / 무례한 아이

 

①‘형용사(形 모양 형 容 얼굴 용 詞 말씀 사, Adjective)’는 ‘사람, 동물, 사물이 어떠하다’라고 할 때 ‘어떠하다’의 자리에 올 수 있는 단어입니다. 가령, ‘둥근 얼굴’에서 ‘둥근’는 형용사입니다. 이렇듯 형용사는 주로 사물의 모양, 크기, 색깔, 성질, 특색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우리말로 ‘어떤’이라고 물었을 때 적합한 대답이 되며, 받침에 ‘~ㄴ, ~는, ~하는’ 따위가 붙습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형용사’는 ‘사물의 모양이나 얼굴을 표현하는 말씀’입니다.

a pretty girl (어떤 소녀? → 예쁜 소녀)

<pretty 예쁜 girl 소녀>

“어떤 소녀?” “예쁜 소녀.” 물음과 대답이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pretty는 명사 girl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a girl은 막연히 한 사람의 소녀일 뿐입니다. 이 경우 소녀는 착한 소녀일 수도 있고 나쁜 소녀일 수도 있고 그리고 공주병에 걸린 소녀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pretty를 girl 앞에 덧붙임으로써 수많은 소녀 가운데서 예쁜 소녀로 범위가 좁혀졌습니다. 이처럼 명사의 범위를 축소하여 그 명사의 모양(形)과 얼굴(容)을 생생하게 그려주는데 도움이 되는 말을 ‘형용사’라 합니다. 그리고 이처럼 단어의 범위를 축소(압축)하는 것을 영어에서는 ‘수식한다, 꾸며준다, 제한 한다, 한정한다’라고 표현합니다.

a boy (한 소년) → a brave boy (한 용감한 소년)

<brave 용감한>

세상에는 무수히 많은 소년들이 있습니다. 영리한 소년도 있고, 못생긴 소년도 있고, 게으른 소년도 있습니다. 그런데 a boy에 brave를 덧붙여 a brave boy라고 합시다. 그러면 다소 막연했던 ‘한 소년’이 ‘한 용감한 소년’이 되어 자신의 모양(形)’과 ‘얼굴(容)’을 여러분께 조금씩 생생하게 드러내죠? 그 소년의 모습이 지금 여러분의 머리속에서 떠오릅니까?

또한 “어떤 소년?”하고 물으니 “용감한 소년”이라고 대답이 자연스럽게 나오므로 brave 는 형용사입니다.

an honest girl (어떤 소녀?→정직한 소녀) <honest 정직한>

 

 

4) 부사(副詞 Adverb)

 

‘부사(副 도움 부, 버금 부 詞, 말씀 사, Adverb’는 ‘동사’, ‘형용사’ 그리고 다른 ‘부사’를 꾸며서(수식하여, 범위를 제한․한정․축소․좁혀) 동사, 부사, 형용사의 의미를 더욱 명료하게 해 주는 말입니다.

또한 ‘부사’는 “언제(때)?”, “어디서(장소)?”, “어떻게(방법)?”, “왜(이유)?”, “얼마나 자주?”, “어느 정도?” 등의 물음에 대한 자연스런 대답이 됩니다.

‘Adverb’ 를 ‘ad’ ‘verb’ 로 분해하여 보면 ‘ad’ 는 ‘~으로’, ‘~에’의 의미로 ‘이동’, ‘변화’, ‘방향’, ‘부가’, ‘증가’ 등을 나타내며, ‘verb’ 는 동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사’란 동사에 부가되는 말씀’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모르나 부사의 70% 정도는 동사의 범위를 제한합니다.

The book is here. <book책 here여기에>

부사 <책이 여기에 있다.>

“책이 어디에 있죠?” “여기에 있다.” 문답이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here 는 장소․위치를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He will be back tomorrow. <그는 내일 돌아올 것이다.>

<will ~할 것이다. be ~이다, ~이 있다, ~이 되다, 오다.>

<back 다시, 뒤로 tomorrow 내일 be back : 돌아오다>

“그는 언제 돌아오죠?” “내일 돌아올 것입니다” 문답이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tomorrow 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① 부사가 동사를 꾸미는 경우

He runs fast. <he 그 사람 fast 빨리>

부사 <그는 빨리 달린다.>

“어떻게 달려?”하고 물으니 “빨리 달려”하고 자연스러운 대답이 되니 fast 는 부사입니다. “어떤 달려?” “빠른 달려”의 대화는 어색하죠? 이것은 이 문장에서는 fast 가 형용사로 쓰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He runs. 는 그냥 그 사람이 지금 달린다, 라는 의미입니다. 천천히 달릴 수도 있고 빨리 달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fast를 덧붙임으로써 그 남자가 지금 빨리 달리고 있구나, 하고 여러분 은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fast는 runs뒤에 덧붙어 동사 ‘달리다’의 범위를 빨리 달리는 쪽으로 압축하면서(왜냐하면 천천히 달리는 것은 제외됐으므로) 그가 달리는 움직임(동작)을 우리에게 좀 더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말을 가리켜 ‘부사’라 합니다

② 부사가 형용사를 꾸미는 경우

a very pretty girl (얼마나 예쁜 소녀? → 매우 예쁜 소녀)

    부사  형용사

“얼마나 예쁜 소녀?” “매우 예쁜 소녀.” 문답이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very 는 형용사 pretty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a pretty girl은 ‘예쁜 소녀’입니다. 예쁜 소녀 가운데도 ‘조금’ 예쁜 소녀가 있는가 하면, ‘매우’ 예쁜 소녀도 있습니다. 그런데 very를 pretty앞에 덧붙임으로써 수많은 예쁜 소녀 가운데서도 ‘매우’ 예쁜 소녀로 범위가 좁혀졌습니다. 마치 최고의 미인을 뽑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와 같이 형용사, 동사, 부사의 범위를 축소하여 그 형용사, 동사, 부사의 뜻을 더욱 생생하게 나타내는데 도움을(副 도울 부) 주는 말을 ‘부사’라 합니다.

.

a. She laughs beautifully. (그녀는 아름답게 웃는다.)

b. He wiped out the window cleanly. (그는 창문을 깨끗하게 닦았다.)

c. He teaches English kindly. (그는 영어를 친절하게 가르친다.)

부사는 -하게, -히가 붙고 일반적으로 형용사 뒤에 -ly를 붙여 만듭니다. 그리고 부사는 ‘어떻게?’에 대한 답이기도 합니다.

 

a. 그녀는 웃는다. 어떻게? 아름답게.

b. 그는 창문을 닦았다. 어떻게? 깨끗하게.

c. 그는 가르친다. 어떻게? 친절하게.

 

부사는 ‘어떻게?’에 대한 답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잘 보세요. 부사는 그냥 덧붙이는 말이라 없어도 말이 된다고 했죠? 자 잘 보세요. 위의 세 문장에서 부사만 뺍니다.

a. She laughs. (그녀는 웃는다.)

b. He wiped out the window. (그는 창문을 닦았다.)

c. He teaches English. (그는 영어를 가르친다.)

자.. 부사를 모두 뺐습니다. 그래도 말이 되죠? 왜 그러냐면 부사는 문장에서 없어도 말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냥 덧붙여서 쓰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선수로 치면 후보인 셈이죠. 후보가 없다고 해서 경기 못하는 거 보셨어요? 부사는 그런 후보입니다.

 

 

5) 전치사(前置詞 Preposition)

 

전치사란 前(앞 전)자, 置(놓일 치), 詞(말 사)가 합쳐진 말로 ‘앞에 놓이는 말’이란 뜻입니다. 그럼 도대체 뭐 앞에 놓인다는 걸까요? 바로 명사입니다. 전치사는 항상 명사 앞에 놓입니다. 우선 전치사에는 무엇무엇이 있는지부터 알아볼까요? 전치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of(~의, ~중에서), for(~을 위해, ~을 위한, ~동안, ~에 대해),

to(~에게, ~로), on(~위에, ~에 대해), under(~아래에)

from(~로부터, ~에서), about(~에 대하여, ~쯤), in(~안에, ~에),

before(~전에, ~앞에), at(~에서), with(~와 함께),

by(~에 의해, ~ 곁에), after(~후에, ~뒤에, ~을 따라),

above(~위에), below(~아래에), behind(~뒤에), beside(~옆에)

 

.

This is the room of my sister. (이것은 내 여동생의 방이다.)

I bought this flower for you. (당신을 위해 이 꽃을 샀다.)

I go to you. (너에게로 간다.)

A dog is on the table. (개가 테이블 위에 있다.)

The ball is under the box. (그 공은 상자 아래에 있다.)

This is the letter from Daejeon. (이것은 대전에서 온 편지이다.)

We talk about the matter. (우리는 그 문제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We live in Daejeon. (우리는 대전에 산다.)

I will meet her at the theater.

(나는 그녀를 극장에서 만날 것이다.)

I must meet my teacher before 3 o'clock.

(나는 선생님을 3시전에 만나야만 한다.)

She runs with her dog. (그녀는 그녀의 개와 함께 달린다.)

She is loved by me. (그녀는 나에 의해 사랑 받고 있다.)

I will go the movies after school.

(나는 방과후에 영화를 보러 갈 것이다.)

The ball is above the desk. (그 공은 책상 위에 있다.)

The cat is below the table. (그 고양이는 테이블 아래에 있다.)

The ghost is behind you!! (유령이 당신 뒤에 있어요!!)

The baby is beside you! (아기가 당신 옆에 있어요!)

 

위 예문들에서 보다시피 전치사는 모두 명사 앞에 쓰였습니다. 거꾸로 생각하면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오는 것입니다.

자.. 이제 왜 전치사라 하는지.. 아시겠죠?

 

 

6) 접속사(接續詞 Conjunction)

 

‘접속사(接 이을 접, 續 이을 속, Conjunction [kəndʒʌ́ŋkʃən] 컨졍션])’는 낱말과 낱말, 문장과 문장 등을 이어 주는 말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접속사(연결사)’는 ‘이어 주는 말씀’이 됩니다.

접속사에는 and (그리고), but (그러나), or (또는), so [sou 소우] (그래서), that (~인 것, ~하다는 것),

if [if 잎] (만일 ~라면), when (~할 때) 등이 있습니다.

The cat is black and white. <cat 고양이 is ~이다. black 검은>

(그 고양이는 검고 희다.(알록달록하다.))

and는 낱말 black과 낱말 white를 연결해 주므로 접속사(연결사)입니다.

 

 

7) '감탄사(感歎詞 interjection)'?

 

‘감탄사(感 느낄 감 歎 읊을 탄, Iinterjection [intəγʤékʃən 인터�션])’는 기쁨, 놀람, 슬픔, 노여움 등의 느낌, 감정을 나타내는(읊은) 말입니다.  예컨대 oh [ou 오우] (아!, 오!), alas [얼라-스] (아아!), bravo [브롸-보우] (잘했다! 좋다!), hello [helóu 헬로우] (야아! 여보세요!) 등입니다.

what a (참으로, 어찌나 ~한지!)는 명사를 수식하므로 ‘감탄형용사’이고, How [hau 하우] (참으로, 어찌나 ~한지!)는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므로 ‘감탄부사’입니다.

Oh! what a beautiful girl she is! (오! 그녀는 어찌나 아름다운 소녀인지!)

<beautiful 아름다운 she 그녀>

Oh! how beautiful a girl she is! (오! 그녀는 어찌나 아름다운 소녀인지!)

Oh! how beautiful she is!  (오! 그녀는 어찌나 아름다운지!)

 

 

8) 동사(動詞 Verb)

 

‘동사(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Verb [vəːγb 붜-브])’는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동작)과 상태(입장, 형편, 처지)를 나타내는 낱말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동사’는 ‘움직이는 말씀’입니다. (동사전반적인 의미는 앞장에서 다루고 이후에 시제와 동사의 변환에서 자세하게 다루게 될 예정이라 간단하게 설명만 하겠습니다.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 ― 동작동사

I run. < run [rʌn �] 달리다 > (나는 달린다.)

run 은 주어 I가 달리는 움직임(동작)을 나타내주므로 동사입니다.

상태(처지, 입장, 형편)를 나타내는 동사 ― 상태동사

I love him. < him 그를, 그에게 > (나는 그를 사랑한다.)

love 는 주어 I가 그 남자를 사랑하고 있는 입장, 처지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She is gone. (그녀가 가버렸다.(그래서 지금 여기에 없다))

< she 그녀 is ~이다 gone 지나간, 죽은 >

is gone 은 그녀가 과거에 가버려서 지금은 여기에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나중에 상세히 공부하겠지만 gone은 과거분사입니다. 그리고 is의 주격보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지금은 과거분사니 주격보어니 하는 말이 생소할 것입니다. 조금만 참고 기다리면 이들 모두 이해될 것 입니다.

위의 예)처럼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과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을 ‘동사’라 합니다.

 

 

구(句)란

‘구(句 글귀 구, Phrase [freiz 프뤠이즈])’는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졌으나 ‘주어 + 동사’의 모양을 갖추지 못한 낱말 덩어리이며 하나의 품사(명사, 형용사, 부사) 또는 낱말 역할을 합니다.  ‘구’에는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가 있습니다.

in the morning < 아침에, 오전에 >

3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덩어리이군요. in은 전치사, the는 관사, morning은 명사, 어디를 봐도 주어와 동사가 될 만한 것이 없군요. 이런 글귀를 가리켜 ‘구’라 합니다.

 

to study < 공부하는 것 > < to ~하는 것 >

2개로 이루어진 단어 덩어리이군요. to 는 전치사이고, 동사 부분(study)은 있으나 주어 부분이 없군요. 이런 글귀도 주어와 동사를 함께 못 갖추고 동사만 있으므로 ‘구’라 합니다.

 

(1) 명사구(Noun Phrase)

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죠? 이것을 본받아 ‘구’가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되면 ‘명사구’라 합니다.

① ‘구’가 주어나 보어로 사용된 경우 → 명사구

To teach is to learn. <가르치는 것이 배우는 것이다.>

주어 보어 < teach 가르치다 learn 배우다 >

To teach 는 is 의 주어이군요.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나 대명사 그리고 명사 상당어구입니다. To teach가 주어로 쓰였으므로 명사로 취급하여 명사구라 합니다. 대명사구라고 하지 않습니다. 대명사 구는 each other (서로 서로), one another (서로 서로) 따위입니다.

to learn은 is의 보어이군요. 보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나 형용사 따위입니다. 여기서 to learn은 보어로 쓰였으므로 명사구 또는 형용사구로 보아야 합니다. to가 ‘~하는 것, ~함, ~하기’ 등으로 해석되면 명사구가 됩니다. 때문에 to learn (배우기, 배우는 것, 배움)은 보어로 쓰인 명사구입니다.

우리말에서도 ‘두다’의 제1명사형은 ‘둠’이죠? 영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to learn’ 이나 ‘to teach’ 처럼 ‘to + 동사’의 모양에서 to 가 ‘~하는 것, ~함, ~하기’등으로 해석되면 명사구가 됩니다.

‘구’가 목적어로 사용된 경우 → 명사구

I always like to study. (나는 항상 공부하기를 좋아한다.)

목적어 < always 항상 >

to study 는 두 개 이상의 단어 덩어리로 이루어졌지만 주어가 없죠? ‘구’ 라는 것은 두말 할 나위가 없죠? 여기서 to study 는 like (~을 좋아하다)의 목적어로 쓰였군요. 즉 to study는 ‘공부하기를’로 해석되며, 더구나 ‘를’이 붙어 있으므로 목적어 구실을 하는 것이 확실하군요.

목적어로는 명사나 대명사 등이 사용됩니다. to study 는 목적어로 쓰였으므로 명사 취급을 하여 명사구라 합니다. 또한 ‘공부하 + 기 + 를’에서 ‘기’가 붙어 있으므로 명사구라는 것이 더욱 확실 하죠? ‘를’이 붙어 있으므로 목적어로 쓰인 명사구이네요.

 

(2) 형용사구(Adjective Phrase)

 

‘형용사구’란,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였지만, ‘주어 + 동사’의 형식을 갖추지 못한 단어 덩어리로서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이는 ‘구’를 말합니다. 특히 명사를 직접 수식할 경우 형용사구는 수식하고자 하는 명사 바로 뒤에 옵니다.

‘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 형용사구

The mountain behind my house is very high. (나의 집 뒤에 있는 산은 아주 높다.)

< mountain 산 behind ~의 뒤에 my 나의 house 집 high 높은 >

형용사는 ‘어떤?’이란 물음의 대답이 되고, 대개는 ‘~ㄴ, ~는, ~하는’처럼 ‘ㄴ’이 붙은 채로 해석됩니다. “어떤 산?”하고 물어보니 “나의 집 뒤에 있는 산”으로 ‘는’이 붙어서 자연스럽게 대답이 나옵니다. 따라서 behind my house는 형용사처럼 쓰였습니다. 이해되나요? 때문에 behind my house를 형용사처럼 쓰였다고 해서 형용사구라 합니다. 이처럼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구는 항상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 뒤에 위치합니다.

The girl in the room is very diligent.  (방안에 있는 소녀는 아주 부지런하다.)

‘형용사’는 ‘어떤?’ 이란 질문의 대답이 되고, 대개는 ‘~ㄴ, ~는, ~하는’처럼 ‘ㄴ’이 붙은 채로 해석됩니다. “어떤 소녀?”하고 물어보니 “방안에 있는 소녀”로 ‘는’이 붙어서 자연스럽게 대답이 되므로 in the room은 형용사처럼 쓰였습니다. in the room을 형용사처럼 쓰였다고 해서 형용사구라 합니다.

 

‘구’가 보어로 쓰인 경우 → 형용사구

The stick is of use. (그 지팡이는 쓸모 있다.)

보 어

<stick 지팡이 use사용 of use : 쓸모 있는 = useful>

of use 는 주어도 없고, 동사도 없는 ‘구’이군요. 보어가 되려면 (대)명사이거나 형용사이어야 되죠? 그러면 of use 는 형용사처럼 쓰였을까요, 명사처럼 쓰였을까요? of use는 관용어구(습관적으로 쓰는 말)입니다. 뜻은 형용사 ‘useful 쓸모 있는’과 같습니다. 따라서 of use 는 형용사처럼 쓰였습니다.

The stick is 만 써 놓으면 ‘지팡이는 ~이다’가 되어 The stick이 어떠어떠한지 알 수 없습니다. ‘~’ 부분에 of use를 넣으면 주어 The stick이 ‘쓸모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of use 는 is (~이다)다음에 놓여서 주어 The stick 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형용사주격보어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of use는 형용사구입니다.

 

(3) 부사구(Adverb Phrase)

 

‘부사구’란,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였지만, ‘주어 + 동사’의 형식을 갖추지 못한 단어 덩어리로써 보통 부사처럼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데 쓰이는 ‘구’를 말합니다. 부사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그 동사 뒤에 오거나, 앞에 오거나 하지만 형용사나 다른 부사를 수식할 때는 항상 뒤에 옵니다.

 

‘구’가 동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 → 부사구

My church stands on the hill. (나의 교회는 언덕 위에 있다.)

< stand (서)있다 on ~위에 hill 언덕 >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어느 정도?’하고 물었을 때 자연스럽게 대답이 나오면 이를 ‘부사’라 했죠. “교회가 어디에 서 있냐?”하고 물으니 “언덕 위에”라고 자연스럽게 대답이 나왔습니다. 때문에 on the hill 은 부사처럼 쓰였군요. 또한 on the hill 은 3개의 단어 덩어리이고 주어, 동사가 없군요. 따라서 ‘구’이네요. 여기서는 부사처럼 쓰였으므로 on the hill 은 부사구입니다.

My church on the hill is white. (언덕 위에 있는 나의 교회는 하얗다.)

 

형용사구

똑같은 on the hill 이어도 이번에는 형용사처럼 쓰였습니다. 형용사는 ‘~ㄴ, ~는, ~하는, ~ 에 있는’처럼 ‘ㄴ’이 붙는다는 설명 기억나시죠? 여기서는 ‘언덕 위에 있는’에서 ‘는’이 붙은 걸보니 on the hill 은 형용사처럼 쓰였군요. 또한 “어디에 있는 교회?”하고 물으니 “언덕 위에 있는 교회”라고 자연스럽게 대답이 나오는군요. 이는 on the hill이 형용사처럼 쓰였다는 걸 보여 주는 것입니다. 때문에 on the hill은 형용사구입니다.

만일 부사처럼 쓰였다고 주장하신다면 이렇게 묻고 대답해야겠죠. “어디에 교회?” “언덕 위에 교회.” 다소 어색하지 않나요? 이는 on the hill이 부사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걸 보여줍니다.

‘구’가 동사를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 부사구

Once upon a time there lived an old king.

 

부사구

< once 한 번, 옛날에 upon = on. time 시간, 때 once upon a time:

옛날 옛날 한 옛날에, 옛날 옛적에 there거기에 there lived + 주어 : 주어가 살았다 old 나이든, 늙은, 오래된 king 국왕, 왕 >

< 옛날 옛적에 한 나이든 왕이 살았다. >

“언제 한 나이든 국왕이 살았어?” “옛날 옛적에 살았지.” “언제?”라는 물음에 자연스럽게 대답이 되므로 once upon a time 은 부사처럼 쓰인 게 확실하군요. 따라서 once upon a time 은 부사구입니다.

 

‘구’가 형용사를 수식하는 경우 → 부사구

부사구가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할 경우에는 수식하고자 하는 형용사나 부사의 뒤에 옴.

Beef is good for food.

 

형용사 부사구

< beef 쇠고기 for ~용도에 is good for: ~에 좋다 food 식량, 음식 >

(쇠고기는 음식용도에 좋다. 쇠고기는 식용에 적당하다.)

for food는 2개의 단어 덩어리이고 주어, 동사를 갖추지 못한 형태이므로 ‘구’입니다. Beef is good. (쇠고기는 좋다)만 떼어 놔 봅시다. 주어(Beef), 동사(is), 보어(good)를 모두 갖춘 완전한 문장입니다. 그런데 쇠고기가 어디에 좋은지 궁금합니다. 그냥 쇠고기 자체의 품질이 좋을 수도 있고, 아니면 몸에 좋을 수도 있고…. 여러 가지로 좋겠죠? 식용에 좋다, 라고 하고 싶으면 for food 을 good 뒤에 놓으면 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형용사 good(좋은)의 막연했던 범위가 ‘식용에’라는 범위로 어느 정도 압축됩니다. 따라서 for food은 형용사 good을 수식(=제한, 한정, 꾸밈, 축소, 압축)해 준다고 할 수 있네요. 그리고 형용사를 수식하는 것은 부사이므로 for food은 부사처럼 쓰였다고 하겠네요. 때문에 for food은 형용사 good 을 수식하는 부사구입니다.

 

‘구’가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 → 부사구

부사구가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할 경우에는 수식하고자 하는 형용사나 부사의 뒤에 옴.

I am not old enough to smoke.

< enough 충분히, 충분한/ to~하기에,~할 만큼 smoke 담배를 피우다 >

(나는 담배를 피울 만큼 충분히 나이 들지 않았다.)

to smoke는 2개의 단어 덩어리이네요. 동사(smoke)만 있지 주어가 없네요. 때문에 ‘구’입니다. 무슨 ‘구’일까요?

I am not old.(나는 나이 들지 않았다)만 떼어도 주어(I), 동사(am), 보어(old)를 갖춘 온전한 문장입니다. 또한 I am not old enough.(나는 충분히 나이 들지 않았다)만 떼어도 온전한 문장입니다. “어느 정도 나이 들지 않았니?” 하고 물으니 “충분히 나이 들지 않았어”

라고 자연스럽게 대답이 되므로 ‘충분히(enough)’는 형용사 ‘나이 들다(old)’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충분히는 충분한데 어느 정도 충분히?”하고 물어봅시다. “담배 피울 만큼 충분히”라고 대답할 수 있죠? 이것은 ‘담배 피울 만큼(to smoke)’이 ‘충분히(enough)’를 수식(한정, 제한, 꾸밈, 압축, 축소)하여 부사처럼 쓰였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때문에 to smoke는 부사구입니다.

☺ 명사구

① 대개 ‘to + 동사’ 꼴임

② ‘to’ 를 ‘~하기, ~하는 것, ~함’으로 해석함

③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됨

☺ 형용사구

①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서 그 명사를 좀더 자세히 설명함

② 보어로 쓰임

☺ 부사구

동사의 앞, 뒤 또는 형용사, 부사의 뒤에서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함

 

※다음 밑줄 친 ‘구’가 무슨 구인지 ( )안에 쓰세요.

 

(1) To speak English is easy. ( )

< 영어를 말하는 것은 쉽다. 영어로 말하기는 쉽다. > 답) 명사구

English 는 speak 의 목적어이군요. ‘영어를’에서 ‘를’이 붙어 있기 때문입니다. To는 ‘~ 하기,~하는 것,~함’으로 해석 하는게 자연스럽군요. 따라서 To speak English 는 ‘영어를 말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is의 주어이므로 명사구입니다.

 

(2) I want to go home. ( ) < 나는 집에 가기를 원한다. 나는 집에 가고 싶다. > 답) 명사구

to go home은 want (~을 원하다)의 목적어이군요. ‘집에 가기를’에서 ‘를’이 붙었기 때문입니다. 목적어가 되는 것은 (대)명사 또는 명사 상당어구(명사로 취급하는 것)입니다. 때문에 to go home은 want의 목적어 구실을 하는 것으로 취급하여 명사구라 하겠습니다.

 

(3) My hope is to go to America. ( ) < 내 희망은 미국에 가는 것이다. > 답) 명사구

My hope를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하는군요. 때문에 ‘~’ 를 보충하는 말이 필요합니다. to go to America (미국에 가는 것)는 is (~이다)의 ‘~’에 놓여 my hope 가 무엇이란 걸 보충 설명해 주는군요. 보어가 되는 것은 (대)명사, 형용사, 명사 상당어구입니다. to go to America는 ‘미국에 가는 것’으로 해석해야 자연스런 풀이가 되고, to 가 ‘~하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형용사보어가 아닌 명사보어라 하겠습니다.

 

(4) Seoul is the capital of Korea. ( )  < 서울은 한국의 수도이다. > 답) 형용사구

형용사는 명사의 범위를 압축하여 명사의 뜻을 명료하게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 기억하시죠? Seoul is the capital만 써 놓으면 ‘서울은 수도이다’란 뜻입니다. 말은 되죠.

그런데 좀 막연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of Korea를 명사 capital 뒤에 붙임으로써 ‘서울은 한국의 수도’ 라고 범위가 축소되면서 의미가 뚜렷해지죠? 따라서 of Korea는 형용사처럼 쓰였다는 것을 아시겠어요? 형용사처럼 사용되었으므로 of Korea는 명사 capital을 수식하는 형용사구입니다.

 

(5) He is of Korea. ( )  < 그는 한국에 속한다. 그는 한국인이다. > < of ~에 속한 of Korea = Korean : 한국인의 >  답) 형용사구

of Korea는 is 의 보어이네요. is (~이다)를 보충하여 주어 He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명사구는 아니네요. 명사구이려면 ‘~하기, ~하는 것, ~함’으로 해석돼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군요. 그리고 of Korea는 형용사 Korean (한국인의)과 같은 뜻이군요. 때문에 of Korea 는 형용사보어 구실을 하는 형용사구입니다.

 

(6) The sun rises in the east. ( )  < 태양은 동쪽에서 떠오른다. > 답) 부사구

부사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얼마나, 어느 정도?’의 물음에 대한 자연스런 대답이죠? “태양은 어느 쪽에서 뜨냐?”하고 물으니 “동쪽에서 뜨지”라고 대답이 자연스럽게 나오므로 in the east는 부사처럼 쓰였습니다. 때문에 in the east는 부사구라고 하겠습니다.

 

(7) The garden is full of flowers. ( ) < 정원은 꽃으로 가득 차 있다. >  답) 부사구

 

 

 

조동사

 

 

(1) 조동사 개념정리

 

조동사란 助(도울 조)자와 動詞가 합쳐진 말로 ‘동사를 돕는 동사’라는 뜻입니다. 그럼 ‘동사를 돕는다’는 뜻은 무엇일까요? 동사 자체로는 미래, 가능, 허락, 의무를 나타낼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동사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하겠죠. 바로 그러한 역할, 즉 동사를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 조동사인 것입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동사는 go로 통일하겠습니다.

대표적인 조동사에는 can, may, must, shall, will 등이 있습니다.

 

조동사의 사용법으로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조동사 뒤에는 반드시 동사의 원형이 온다는 것입니다.

 

He can cook well. (그는 요리를 잘 할 수 있습니다.)

You must do it at once. (당장 그 일을 하세요.)

We shall miss you. (네가 보고 싶어지겠지.)

 

※ 동사의 원형이 온다는 것을 꼭 기억하십시오.

He can cooking well.(x)   He can cooks well.(o)

 

(가) can 용법

can은 [...할 수 있다]는 뜻으로 가능․능력을 나타냅니다.

가능․능력을 나타내는 can

I can read French. (나는 프랑스어를 읽을 수 있습니다.)

She can play the guitar. (그녀는 기타를 칠 수 있습니다.)

Nancy can swim well. (낸시는 수영을 잘 할 수 있습니다.)

Tom can't swim. (탐은 수영을 할 수 없습니다.)

can은 [할 수 있다]라는 뜻 외에도 [...일 수 있다], [...일지도 모른다], [...해도 좋다]등의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John can be there now. (존은 이제 그곳에 도착했을지도 모릅니다.)

Nancy can be a fashion model. (낸시는 패션모델이 될 수도 있습니다.)

You can keep the book until next Monday. (당신은 다음 월요일까지 그 책을 갖고 있어도 됩니다.)

Can you...?는 어떤 일을 부탁할 때에도 쓰여집니다.

Can you pass me the salt? (소금 좀 집어주시겠습니까?)

Can의 과거형은 could입니다.

I could read French. (나는 프랑스어를 읽을 수 있었습니다.)

She could play the guitar. (그녀는 기타를 칠 수 있었습니다.)

 

can을 사용한 의문문․부정문 작성법

■현재형

긍정문 You can run fast.

의문문 Can you run fast?

부정문 You can't run fast.

※ can't는 can not의 단축형

■과거형

긍정문 She could play the guitar.

의문문 Could she play the guitar?

부정문 She couldn't play the guitar.

※ couldn't는 could not의 단축형

 

(나) 조동사(2) may 용법

 

may는 크게 [....해도 좋다]는 허가와 [....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의 용법이 있습니다.

[...해도 좋다]는 허가의 may

May I smoke a cigarette? (담배를 피워도 됩니까?)

여기서 may는 [...해도 좋다]는 의미입니다.

 

[허가의 may]라고 기억하십시오.

May I ~?는 Can I~?보다 정중한 표현입니다.

You may sit here. (여기에 앉아도 좋습니다.)

You may go home. (집에 돌아가도 좋습니다.)

May I have your telephone number? (댁의 전화번호 좀 알려주시겠어요?)

May I ~?[... 해도 좋습니까?]라고 물을 때의 대답

May I go home?

허가(동의)할 경우 Yes, you may.

금지(부정)할 경우 No, you may not.

이상과 같이 답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아래의 표현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Sure. Of course.

Yes, of course. Of course you may.

No, you mustn't.<강한 금지>

추측의 may는 [...일지도 모른다] 의미로는 의문문에 쓰이지 않습니다.

He may go to Paris next week. (그는 다음 주 파리에 갈지도 모릅니다.)

It may rain tomorrow. (내일은 비가 내릴지도 모릅니다.)

She may come here or she may not. (그녀는 여기에 올지 안 올지 모릅니다.)

 

(다) Must 용법

must는 크게 [...해야 한다]는 명령․의무와, [...임에 틀림없을 것이다]는 추측의 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해야 한다]는 명령․의무의 must

You must get up before 7 o'clock. (당신은 7시 전에 일어나야 합니다.)

We must work 35 hours a week. (우리들은 1주에 35시간을 일해야 합니다.)

She must study English hard. (그녀는 영어를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must는 [...해야 한다]라는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강한 어조입니다. 표현을 좀 더 부드럽게 할 때는 should를 써서 You should get up before 7 o'clock.이라고 하면 됩니다.

[...임에 틀림없을 것이다]는 추측의 must

He must be a doctor. (그는 틀림없이 의사일 것입니다.)

Kathy must be very clever. (캐시는 매우 영리한 것임에 틀림없을 것입니다.)

Paul must have many good friends. (폴에게는 틀림없이 많은 좋은 친구들이 있을 것입니다.)

주의 : must에는 과거형이 없으므로 have to의 변화형인 had to를 씁니다.

 

■의문문․부정문의 작성법

긍정문 I must study French.

의문문 Must I study French?

부정문 I mustn‘t study French.

 

 

(라) have to, has to 용법

 

[...해야 한다]는 의무․명령의 have(has) to

You have to get up before 7 o'clock. (당신은 7시 전에 일어나야 합니다.)

have(has)to는 must와 같은 의미입니다.

have to, has to의 have(has)에는 [....을 가지다]라는 의미는 없고 두 단어를 하나로 해서 [....해야 한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We have to eat some vegetables every day. (우리들은 매일 야채를 먹어야 합니다.)

He has to go to church every Sunday. (그는 일요일마다 교회에 가야 합니다.)

She has to study math. (그녀는 수학을 공부해야 합니다.)

have(has) to는 must와 달리 과거형이 있습니다. => had to

He had to get up at 5 yesterday morning. (그는 어제 아침에 5시에 일어나야 했습니다.)

Linda had to work hard last year. (린다는 작년에 열심히 공부해야 했습니다.)

 

■have(has) to, had to의 의문문․부정문 작성법

 

긍정문 You have to get up before 7 o'clock.

의문문 Do you have to get up before 7 o'clock?

부정문 You don't have to get up before 7 o'clock..

긍정문 She has to study math.

의문문 Does she have to study math?

부정문 She doesn't have to study math.

긍정문 John had to work hard yesterday.

의문문 Did John have to work hard yesterday?

부정문 John didn't have to work hard yesterday.

 

 

 

(마) Shall I ~? / Shall we ~?

 

Shall I ~? Shall we ~는 [....을 할까?]라고 말할 때 씁니다.

Shall I help you? (제가 도와 드릴까요?)

Shall we dance? (춤을 추시겠습니까?)

 

현대의 일상 회화에서 shall 은 Shall I ~?, Shall we ~?처럼 주어에 I와 we를 쓴 의문문 이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I shall ~, Shall she ~?등은 회화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표현입니다.

Shall I answer the phone? (제가 전화를 받을까요?)

Shall I get you some coffee? (커피 좀 갖다 드릴까요?)

Shall we go home? (집에 돌아갈까요?)

Shall we finish the class now? (지금 수업을 끝낼까요?)

What shall we eat? (무엇을 먹을까요?)I

Shall I ~? Shall we ~에 대하여 대답하는 방법

다른 의문문 형식과는 대답하는 형식이 다릅니다.

 

Shall I help you?

동의할 경우 Yes, please.

부정할 경우 No, thank you.

Shall we go home ?

동의할 경우 Yes, let's / OK / All right.

부정할 경우 No, let's not. 등

 

 

(바) Will you ~? / Could you ~?

 

Will you ~ ?, Could you ~?는 [... 해 줄 수 있습니까?]라고 정중히 묻는 말입니다.

Will you open the window?

Could you open the window?

(창문을 열어 주시겠어요?)

명령문에 Will you, Could you를 써서 의문문으로 만들면 매우 정중한 부탁을 나타냅니다.

Stand up. (일어나십시오.)

Will you stand up?

Could you stand up? (일어서 주시겠어요?)

Please close the door. (문을 닫아 주십시오?)

Will you please close the door?

Could you please close the door? (문을 닫아 주시겠어요?)

Tell me the way to the station, please. (역으로 가는 길을 가르쳐 주십시오.)

Will you tell me the way to the station, please?

Could you tell me the way to the station, please?

(역으로 가는 길을 가르쳐 주시겠어요?)

Be quiet, please. (조용히 해 주십시오.)

Will you be quiet, please. (조용히 해 주시겠어요?)

Could you be quiet, please.

Won't you ~도 Will you~?나 Could you~?와 마찬가지로 정중한 부탁을 할 때 흔히 쓰이는 표현입니다. (사용법도 같습니다.)

Won't you help me? (저를 도와주시지 않겠습니까?)

Won't you stand up? (일어서 주시지 않겠습니까?

■기본문장:You go there. (너는 거기에 간다.)

■미래:You will go there. (너는 거기에 갈 것이다.)

■가능:You can go there. (너는 거기에 갈 수 있다.)

■허락(추측):You may go there. (너는 거기에 가도 된다.) (너는 거기에 갈지도 모른다.)

■의무:You must go there. (너는 거기에 가야만 한다.)

 

위의 will(would), can(could), may(might), must(should)는 모두 동사가 ‘미래, 가능, 허락(추측), 의무’의 뜻이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동사입니다. 즉, 조동사인 것이지요.